성펭레터를 무료로 구독하세요
성펭레터를 구독하시고, 상위 1%가 되세요. 삶을 바꾸고 있는 15,000명 이상의 사람들과 함께하세요.
매주 토요일, 인스타그램 성장과 수익화에 대한 고품질 뉴스레터를 보내드립니다.
2025. 1. 2.
성펭레터
모든 것을 떡상시켜버리는 18세 소녀ㅣ제니 호요스

저는 모든 것을 떡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요
누적 숏폼 조회수: 13억
유튜브 숏츠 평균 조회수: 1,000만 회
현재 숏폼 씬에서 가장 핫한 사람 중 한 명인 Jenny Hoyos가 한 팟캐스트에서 자신의 숏폼 노하우를 공개했습니다. 38분의 팟캐스트 중, 엑기스만 정리했습니다.
Jay Clouse 팟캐스트
오늘 뉴스레터는 다음 4가지를 다룹니다.
🧑🔬 바이럴 사이언스: 모든 것을 바이럴 시키는 법
👨🚒 바이럴 구조: 완벽한 숏츠를 만드는 법
🤖 바이럴 기획: 천만 숏폼 기획하는 법
🤐 번외:
제니 인사이트
바이럴에 영향을 끼치는 ‘숨겨진 요소’
🧑🔬 바이럴 사이언스: 모든 것을 떡상시키는 법
스토리
But, Therefore 프레임워크
but
을 자주 사용하면 훨씬 매력적인 스토리가 됩니다.but
을 외칠 때마다 사람들은 궁금해서 시청을 계속하게 됩니다.but
을 자주 활용하면 시청지속시간을 극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예시:
산책을 가고 싶었어.
그래서 산책을 갔어.
그런데 비가 내렸어.
그래서 우산을 찾아봤어.
그런데 우산을 찾을 수가 없었어.
그래서 집에 갔어.
듀얼 스토리
스토리에는 맥락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60초 안에 맥락을 넣으면 정보가 너무 많아집니다. 정보가 많으면 시청자는 압도됩니다.
그래서 저는 두 가지 스토리를 동시에 진행합니다. 나레이션과 화면에서 말이죠.
이렇게 하면 말을 하지 않고도 맥락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Ryan Trahan한테 배웠습니다.
Ryan Trahan은 비쥬얼로 맥락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크리에이터입니다. 구독자 1530만명
듀얼스토리 예시:
발렌타인 선물로 5달러 선물을 받는 할머니.
필요한 맥락:
Q. 왜 발렌타인 선물을 주는지
A. 할아버지가 작년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듀얼스토리:
화면: 할아버지 영정 사진을 보여줌.
나레이션: 메인 스토리 진행
아이러니 (Irony)
아이러니는 언제나 먹힙니다.
아이러니는 시청자로 하여금 궁금증을 유발하고 시청을 계속하도록 합니다.
아이러니한 콘텐츠는 언제나 시청지속시간이 잘 나옵니다. 저는 아이러니를 애용합니다.
예시:
제 롱폼 중에서 부엌을 고치기 위해 돈을 버는 콘텐츠가 있습니다. 그런데 돈을 버는 수단이 요리입니다.
부엌을 고치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하는데, 부엌을 써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죠.
이런 모순된 상황에 시청자는 흥미를 느끼고 시청을 계속합니다.

💬 Jenny’s Tip
SLOW DOWN
너무 빨리 말하지 마세요.
더 간결하게 말하세요.
너무 정신없게 하면 청중이 혼란스러워 합니다.
충분한 정보를 전달한 다음에는 숨을 쉴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청중이 따라올 수 있습니다.
👨🚒 바이럴 구조: 완벽한 숏츠를 만드는 법
🪝 강력한 후크
Jenny의 후크: 후크는 후크 + 예고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보통 후크 1줄, 예고 2줄로 도합 3줄이며, 후크는 3초 안에 끝납니다.
예시:
후크: “어머니는 어머니날 선물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바꿀 겁니다.”
예고: “최고의 $5 선물을 드릴 거예요.”
후크 (비주얼 후크)
보통 첫 화면(0.1초 프레임)에는 콘텐츠를 설명할 수 있는 요소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가 주제라면 맥도날드 매장과 햄버거를 보여줍니다.
맥도날드를 설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맥도날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제가 직접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맥도날드가 저보다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익숙한 게 보여야 스크롤을 멈춥니다.
그리고, 제 첫화면은 항상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습니다. 로고 → 자막 → 요소 순으로 말이죠.
이것은 일종의 ‘시그니처’입니다. 제 오디언스들은 이 구성이 나오자 마자 ‘제 영상’이라는 것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제가 등장하지도 않는데 말이죠!
시그니처를 만드는 것은 충성팬을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 후크의 기능: 예고
후크의 기능 중 ‘예고’는 가장 저평가 된 요소입니다.
후크에는 항상, 시청자가 영상을 끝까지 시청했을 때,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예고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커다란 것을 약속할 수록 시청지속률은 높아집니다.
예시1:
“여기 ~하면 안 되는 3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이 경우 동영상은 셋에서 끝날 것입니다.
예시2:
할머니에게 5달러 짜리 크리스마스 선물을 드리고, 할머니 반응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상을 시작.
이로써 시청자는 선물이 무엇이었는지 궁금하게 됩니다.
따라서 선물의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 영상을 끝까지 시청합니다.
후크는 항상,
끝까지 봐야 하는 동기를 줘야 하고
다시 볼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 반전
사회자:
후크에 대한 기대를 발생시키고,
그것보다 더 크게 기대를 충족시켜주나요?
제니:
그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저 같은 경우 반전을 더 좋아합니다.
예시:
어머니께 5달러짜리 어버이날 선물을 드렸습니다.
후크: “저희 어머니는 어머니날 선물을 받으신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그녀에게 최고의 $5 선물을 드리기로 했습니다.”WHY: 어머니는 어머니날 선물을 받으신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걸 바꿀 것입니다.Expectation: 그녀에게 최고의 $5 선물을 드릴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그녀에게 $5 선물을 주었습니다.반전: 그런데 저는 여기서 한번 더 비틀었습니다.
어머니가 선물을 떨어뜨려 선물이 박살났습니다.
어머니가 외침 “너는 내 최고의 딸이야!”.
그리고 제니가 외침 “엄마한테 딸은 하나밖에 없잖아”
이렇게 저는 청중의 기대를 충족시키면서
약간의 반전을 만들어내는 것을 즐깁니다.

🍃 환기 (Transition)
저는 항상 ’후크 > 예고 다음, 환기’합니다.
사람들이 한번 호흡을 하며 맥락을 따라오길 기대합니다.
예시:
제 최근 영상을 예로 들면.
🪝 후크: “맥도날드는 이 메뉴를 없앴습니다.”
💬 예고: “저는 이 메뉴를 직접 만들어서, 맥도날드가 다시 이 메뉴를 복귀시키게 만들 겁니다.”
🍃 환기: “시작해보자구요!”
그런데 여기서 “시작해보자구요!”라고 예기하니까 페이스가 깨진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고쳐 썼습니다.
🍃 환기: “저는 불법(illegally)으로 요리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흥미를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분위기를 이끌어갈 수 있습니다.
💥 Jenny Hoyos가 후크 만드는 법
언어수준은 초등학교 5학년 이하
수천 개의 숏츠 스크립트를 분석하면서 알게 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바이럴 콘텐츠의 언어 수준은 초등학교 5학년 이하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가독기 검사기로 검사해보면, 대부분의 빅 크리에이터의 언어 수준은 초등학교 5학년 이하입니다.
MR.BEAST 콘텐츠 언어 수준은 초등학교 1학년 수준입니다.
그래서 제가 후크를 만들 때는,
가능한 간결하게 작성하고,
가독성 검사기 (readability checker)에 넣어봅니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준이 나올 때까지 수정합니다.
요컨대, ‘비즈니스’나 ‘금융’ 같은 말은 피합니다.
대신에 그것을 풀어서 묘사합니다. “~를 팔아서 $100를 벌 거예요!” 같이 말이죠.

꿀팁: Jenny가 유튜브 숏츠 분석하는 법
일반적으로는 유튜브 숏츠는 스크립트를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URL을 조금만 바꾸면 스크립트를 볼 수 있습니다.
숏츠 URL 중 ‘shorts/’ 이 부분을 ‘watch?v=’로 바꿔주세요.
그러면 유튜브 숏츠에서도 스크립트를 볼 수 있습니다.

👨🚒 바이럴 구조: 리텐션 - 시청지속시간
리텐션: 시청지속시간
👉 숏츠의 1초는 절대적입니다.
롱폼은 1초가 시청지속시간의 1%도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숏츠는 다릅니다.
제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제 숏츠 가장 퍼포먼스가 좋은 영상 길이는 34초입니다.
그런데 34초 중 1초는 숏츠 영상의 3%입니다.
따라서 영상 끝 1초에서 사람들이 이탈하면 저는 시청지속시간 중 3%를 잃는 것입니다.
2초면 6%를 잃는 것입니다!
이야기를 하나 들려드리겠습니다.
제 영상 중 한 영상은 업로드 초반, 5만 뷰를 얻었습니다.
당시 평균 뷰가 100만이었기 때문에 저는 슬펐습니다.
그래서 분석 탭을 가봤습니다.
그리고 저는 마지막 1초에서 70%였던 시청지속률이 45%로 떨어졌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1초만에 25%가 떨어진 것이죠..

그래서 저는 유튜브 편집 기능을 이용해서 뒤에 1초를 잘랐습니다(지금은 없는 기능).
그랬더니 영상이 떡상했습니다.

기억하세요.
1초는 숏폼의 3%입니다. 절대로 안이하게 편집해서는 안됩니다.
👉 영상 길이: 가장 잘 작동하는 영상 길이는 몇 초입니까?
34초입니다. 제가 분석해봤기 때문에 정확합니다.
하지만 최적의 영상 길이는 모두 다릅니다. 각자의 채널에 맞는 길이를 분석해야 합니다.
참고로 30초 이하의 숏츠가 바이럴 되려면, 시청지속률이 100%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바이럴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조금 더 긴 길이의 숏츠를 선호합니다. 3035초 사이 정도로요. 그러면 지속률이 90%여도 바이럴 되더라구요.
👉 반복시청반복시청은 시청지속시간을 극적으로 끌어올리는 치트키입니다.
반드시 반복시청을 유도해야 합니다.
숏츠에는 몇 %의 사람이 시청하는지, 그냥 흘러넘기는지를 보여주는 탭이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스크롤률’이라고 부릅니다.
제 ’스크롤률’은 평균 85%입니다. (참고 사진에서는 75%)

그런데 제 평균 시청지속률은 95%입니다.
어떻게 시청을 시작한 사람보다 남은 사람이 더 많을 수 있는 걸까요? (스크롤률 < 시청지속률)
바로 반복시청 때문입니다.
유튜브 숏츠는 30초 미만 기준, 시청지속률이 100%를 넘어야 영상이 떡상합니다.
100%를 넘으려면 반드시 반복시청을 유도해야 합니다.
🤖 바이럴 기획: 천만 숏폼 기획하는 법
나만의 틈새 찾기
카피캣은 레드오션을 자처하는 것입니다.
처음에 저는, 비지니스 유튜버 그레이엄 스테판을 모방했습니다. 아니 ‘카피’했습니다. 말그대로 완전히 똑같이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카피캣을 자처하므로써 스스로 ‘레드오션’을 만들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레이엄 스테판을 따라하는 카피캣이 정말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저는 무엇 하나 차별화되는 것이 없었습니다. 이것을 깨닫고 저는, 전에 올렸던 영상을 모두 삭제했습니다.
자신만의 독특한 틈새를 찾아야 합니다. 그래야 블루오션에서 헤엄칠 수 있습니다.
🪝 Jenny의 기획법
수천 개의 바이럴 아이디어 뽑는 법:
구글 문서에 수천 개의 아이디어를 메모해 둡니다.
그 중에 열 개 정도만 실제로 영상으로 만듭니다.
영감을 얻기 위해서 많은 유튜브 숏츠를 봅니다.
만들고 싶거나, 비틀어보고 싶은 영상을 찾습니다.
ChatGPT의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AI는 실제로 유용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을 활용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을 영상으로 만들기
개인적으로 4번을 선호합니다. 설명드리겠습니다.
제 영상 중 가장 인기 있는 영상들 중 하나는 제가 정원을 만드는 영상입니다. 그런 걸 누가 보나 싶지만, 조회수가 3,000만 회에 달합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느 날 라따뚜이를 먹고 있는데, 가격이 $20나 한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텃밭을 일궈서, 라따뚜이를 무한으로 즐기면 안 되나?”
그래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BOOM!
우선순위: 재미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우선순위에 둡니다. 왜냐하면 바이럴에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이든지 바이럴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는 제가 하고 싶은 것을 우선순위에 둡니다.
최고의 아이디어 선별하는 법
100개의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다음 기준에 따라 50개로 좁힙니다.
진짜로 내가 만들고 싶은가?
물리적으로 가능한가?
훅이 좋은가?
시청지속시간이 높게 나올까?
다시 볼 수 있게 만드는가?
영상에서는 ’바이럴 메커니즘’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끝까지 보게 만들 요소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미스터 비스트가 원 안에 사람을 몰아넣고 마지막에 살아남은 사람에게 100만 달러를 주는 것이 있습니다. 누가 살아남아 100만 달러를 받게 될까 궁금하겠죠?
바이럴 요소를 기준으로 25개로 좁힙니다.
마지막으로 외부 자문을 구해서 10개로 좁힙니다.
저는 제 편집자 겸 유튜브 전략가에게 부탁하는 편입니다.
그는 제 영상 많은 부분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1억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
아이디어를 토해냅니다.
아이디어 1개를 선택합니다.
후크(1줄)를 작성합니다.
엔딩 멘트를 작성합니다.
저는 언제나 마지막 말이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다.
예고(2줄)를 작성합니다.
스크립트 초고를 작성합니다.
이때, 전체적인 틀을 잡습니다.
추가로 영상에 넣고 싶은 게 있다면 글머리 기호로 추가합니다.
촬영
스크립트 퇴고(후시 녹음), 편집.
🤐 번외
번외1: 타깃 오디언스가 있는가?
진행자:
저 같은 경우는 명확한 타깃 오디언스가 있습니다. 비지니스 유튜버들은 명확한 타깃 오디언스 설정이 필수입니다.
그런데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명확한 타깃 오디언스가 있으신가요?
제니:
네 있습니다. 저는 타깃 오디언스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타깃 오디언스가 콘텐츠 제작의 모든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엔 제 조카들(7살, 10살)이 타깃 오디언스입니다.
그들은 비영어권에 살기 때문에 영어를 거의 알아듣지 못합니다. 비영어권 아이들도 제 영상을 좋아한다면 글로벌 바이럴 될 것입니다.
게다가 저는 제 조카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최고예요.
저는 제 조카들에게 보여줄 생각으로 콘텐츠를 만듭니다.
숏츠 플랫폼은 서로 다른가요?
진행자:
인스타그램 릴스와 틱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많은 사람들이 숏폼은 어디 올리든지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제니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제니:
네, 다릅니다.
틱톡에서 100만 조회수를 기록하는 영상이, 유튜브 숏츠에서는 수천회에서 끝날 수 있습니다.
플랫폼에 대한 제 생각을 잠깐 말씀드리자면:
유튜브:
확실히 느리고, 성숙한 시청자를 더 좋아합니다.
그리고 스토리를 원합니다. 그래서 34초짜리 쇼츠가 먹히죠
틱톡:
짧고 밀도 있는 영상이 먹힙니다. 30초 이상의 동영상은 잘 먹히지 않았습니다.
보통 1020초가 먹힙니다. 짧은 조크 같은 것들 말이죠.
틱톡은 확실히 스크롤을 많이 시키려고 합니다. 광고 때문이겠죠.
릴스:
틱톡보다는 성숙하지만, 숏츠보다는 아닙니다.
음소거 기능이 있기 때문에 바이럴 릴스는 매우 시각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릴스에서는 자막을 넣는 편이 좋습니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는 공유가 매우 쉽기 때문에. 공유 가능한 콘텐츠가 힘을 발휘합니다. 예를 들면 ‘밈’ 같은 것들이 그렇습니다.
숏츠는 돈이 되나요?
제니:
숏츠는 돈이 됩니다. 롱폼 만큼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광고 수익이 많지는 않지만, 자사 제품, 강좌, 스폰서십을 통해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저는 숏폼 크리에이터들 중, 스폰서 숏폼 1편당 10억을 받는 사람이 2명을 개인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들은 저랑 조회수가 비슷하거나, 심지어 더 적습니다.
숏폼 크리에이터의 롱폼
많은 숏폼 크리에이터들이 롱폼을 어려워하고 있습니다.
수백만을 내는 숏폼 크리에이터들도, 롱폼에서는 ‘몇천 회’ 조회수를 낼 뿐이죠. 그들은 알고리즘이 잘못됐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그냥 숏폼 크리에이터가 롱폼을 잘 만들지 못할 뿐입니다.
제 숏츠는 평균 조회수 1천만이고 롱폼은 평균 5만 회정도 됩니다. 저는 전환을 꽤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스터비스트 역시 숏츠 평균 2억, 롱평균 1억을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숏폼 구독자 모두를 롱폼으로 데려올 수는 없습니다. 숏폼과 롱폼은 완전히 다른 게임이라고 생각하는 게 편합니다.

번외2
진행자:
데이터로 증명할 수는 없지만,
개인적인 느낌으로 바이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있습니까?
제니:
네 있습니다. 2가지입니다.
공유 가능성
전 유튜브 숏츠에서 공유 가능성이 바이럴에 큰 영상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시청지속시간이 높아서 그럴 수도 있지만, 제 느낌으로는 공유 가능성은 숏츠 바이럴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제 영상은 조회수 대비 공유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무려 20%이죠. 그리고 스크롤률(넘길지 시청할지 결정하는 요소)는 92%입니다.
스크롤률이 높은 이유는 공유률이 높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유로 영상을 본다면 시청을 지속할 확률이 높기 때문)
시청지속시간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만큼’ 중요하지 않다.
저에게 분석 그래프나, 시청지속률 캡처사진을 보내주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몇몇 이들은 저보다 더 많은 시청지속률 수치를 기록하기도 합니다. 40초짜리 숏츠가 시청지속률이 100%를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회수가 100만이 넘죠.
그리고 저는 그 영상이 천만도 충분히 갈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반면 제 영상 중 100만 조회수일 때 시청지속률이 70%밖에 되지 않는 영상도 있었습니다.
굉장히 낮은 수치죠. 하지만 그 영상은 여전히 1,000만 조회수를 얻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재방문 시청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저는 깨달았습니다. 시청자 만족도가 전부입니다. 저라는 브랜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제 평균 도달량을 늘려주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오늘 배운 점을 정리하겠습니다.
🧑🔬 바이럴 사이언스
스토리 및 반전: 각 영상에는 명확한 이야기와 예상치 못한 반전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는 시청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영상 시청을 지속하게 하는 데 중요함.
But, Therefore 프레임워크: ’그런데’와 ’그래서’를 사용하여 이야기에 긴장감을 추가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시청자의 관심을 유지시키며 시청 시간을 늘림.
👨🚒 바이럴 구조
강력한 후크: 첫 프레임에서 시청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시각적 요소를 사용. 예를 들어, 주제가 맥도날드일 경우 맥도날드 매장과 햄버거를 즉시 보여줌으로써 시청자의 관심을 끔.
시그니처 스타일: 자신만의 독특한 비주얼 구성을 통해 콘텐츠의 식별성을 강화. 로고, 자막, 요소들을 일관된 순서로 배열하여 시청자가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함.
예고 기능: 후크를 통해 시청자에게 영상 끝에 제공될 내용을 예고하여 시청 동기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시청지속률을 향상.
🤖 바이럴 기획
천만 숏폼 기획 방법: 구글 문서 등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이 중 일부만을 선별하여 실제 영상으로 제작. 영감을 얻기 위해 다양한 숏폼 콘텐츠를 분석하고, AI 도구를 활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
개인적 경험 활용: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 제작을 선호하며, 이를 통해 독창성과 관련성을 높임.
🤐 번외
타깃 오디언스: 타깃 오디언스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들의 요구와 관심사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효과적으로 소통. 제니는 비영어권 어린이들을 주 타깃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들이 콘텐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
플랫폼별 전략의 중요성: 각각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특성에 맞게 콘텐츠를 최적화. 예를 들어, 유튜브는 좀 더 긴 스토리를 선호하고, 틱톡은 짧고 강렬한 콘텐츠가 유리함을 인식하고 각기 다른 전략을 적용

성펭은 누구인가요?
마케터이자 창작자입니다. 3년 이상 인스타그램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제품을 판매했습니다. 230명+ 개인고객과 30명+ 기업고객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직접적으로 도왔습니다. 현재는 뉴스레터와 디지털 교육으로 고객을 돕고 있습니다. 어떤 형태로든 당신을 도울 수 있어서 기쁩니다.
제 품
준비가 되셨다면 다음과 같이 도와드리겠습니다.
인스타그램 경제학 v2.0 (얼리버드 40% 할인)
인스타그램으로 팔로워를 늘리고 수익화하는 방법에 대한 디지털 교육입니다.
🔗 강의를 등록하세요
아직 구독자가 아니신가요?
성펭레터를 구독하시고, 상위 1%가 되세요. 삶을 바꾸고 있는 15,000명 이상의 사람들과 함께하세요.